본문 바로가기
교육학

교육심리학의 인지론(스키마 이론의 개념과 그 역할)

by 라이프인사이트 2023. 9. 15.

교육심리학에서 인지론은 학습 과정을 인식, 기억해 나가는 과정에서 인지구조의 변화에 대해 다루고 이를 통해 문제해결과 의사결정을 해 나가는 인지적 과정에 대해 연구한 이론입니다. 이 중에서도 스키마 이론은 경험이나 지식습득을 통한 인지구조적 변화가 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를 돕는 주요 개념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스키마 이론에 대해 깊이 있게 알아보고, 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살펴보겠습니다.

스키마 이론의 개념과 역할
교육심리학의 인지론 중 스키마 이론의 개념과 그 역할

1. 스키마 이론의 기본 개념

스키마는 개념이나 상황을 이해하기 위한 지식의 구조를 형성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식당에 가면 음식을 주문한다."라는 스키마는 식당에 갔을 때의 일반적인 행동상황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스키마를 사용하면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마주하는 다양한 상황들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해하고 처리할 수 있습니다. 스키마는 정보를 조직하고 기억하기 쉽게 만들어줍니다. 우리는 수많은 정보와 경험을 받아들이는데, 이러한 정보들을 스키마의 형태로 조직화하면 기억에 더 오랫동안 남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식당에 가는 상황에서는 음식을 주문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러한 스키마를 가지고 있으면 다음에 식당에 가게 되었을 때, 음식을 주문하는 것이 당연한 일로 느껴집니다. 또한, 스키마는 새로운 정보를 받아들일 때 기존의 지식과 결합하여 새로운 지식을 형성하는 데에도 도움을 줍니다. 그러므로 새로운 음식을 시도해 보거나 다른 종류의 식당에 가볼 때에도 기존의 식당에 대한 스키마와 새로운 정보를 결합하여 새로운 음식과 식당에 대한 지식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우리는 지식의 깊이를 넓히고, 더 다양한 경험을 쌓을 수 있습니다.

2. 스키마 이론에서의 스키마의 형성과 역할

스키마는 경험을 통해 형성되며, 새로운 정보를 받아들일 때마다 조정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레스토랑의 스키마가 형성되면 새로운 레스토랑을 방문할 때 이를 기존의 지식과 연결하여 빠르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새로운 경험을 통해 스키마는 조금씩 변형될 수 있습니다. 스키마는 기억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정보를 스키마에 맞게 조직하면 기억력이 향상되고, 정보를 빠르게 검색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레스토랑에 대한 스키마를 가지고 있다면 새로운 레스토랑에서의 경험을 더 쉽게 기억할 수 있습니다. 스키마는 문제 해결 과정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하기 위해 스키마를 활용합니다. 예를 들어, 어떤 상황에서 음식을 주문하는 과정을 경험했다면 기존에 가지고 있던 스키마를 통해 비슷한 새로운 환경에서의 문제에 대해서도 빠르게 해결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교육 분야에서 스키마 이론은 매우 중요합니다. 교사는 학습자들의 스키마를 고려하여 수업을 계획하고 진행합니다. 새로운 정보를 이전 지식과 연결시켜 이해를 돕습니다. 또한 학습자들에게 적절한 스키마를 형성하도록 유도해서 효과적인 학습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 줍니다.

3. 스키마 이론의 교육적 의미와 교육현장 적용

교육 분야에서 스키마 이론은 매우 중요합니다. 교사는 학습자들의 스키마를 고려하여 수업을 계획하고 진행합니다. 새로운 정보를 이전 지식과 연결시켜 이해를 돕습니다. 또한 학습자들에게 적절한 스키마를 형성하도록 유도해서 효과적인 학습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 줍니다. 스키마 이론은 교육 현장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습니다. 수학 교육에서 학생들에게 새로운 수학 개념을 가르칠 때, 그들이 이미 알고 있는 기본 수학 개념과 연결시킵니다. 예를 들어, 새로운 곱셈을 가르칠 때, 학생들에게 이미 알고 있는 덧셈의 개념을 활용하여 곱셈을 이해할 수 있게 도울 수 있습니다. 문학수업에서는 소설을 읽을 때, 학생들에게 이전에 읽은 소설이나 작품과 연결시키는 활동을 진행합니다. 캐릭터의 특징이나 이야기의 흐름을 이전 지식과 연관 지어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과학 교육에서 새로운 과학 개념을 가르칠 때, 학생들에게 이미 알고 있는 일상생활에서의 경험과 연결시킵니다. 예를 들어, 물체의 운동과 관련된 개념을 가르칠 때, 학생들이 평소에 경험한 물체의 움직임을 연결시켜 이해를 돕습니다. 또한, 역사적 사건들을 다룰 때, 학생들에게 이미 알고 있는 관련 사건들과 연결시킵니다. 이전에 학습한 역사적 맥락을 활용하여 새로운 시대나 사건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습니다. 새로운 언어를 배우는 외국어교육에서도 학생들의 모국어나 이미 배운 언어와 연결시킵니다. 공통된 언어적 구조나 어휘를 찾아내어 새로운 언어를 습득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미술 작품을 분석할 때도 이미 알고 있는 미술 용어나 기술을 활용하여 작품을 해석하고 평가합니다. 예를 들어, 조형 원리나 색채 이론을 이용하여 작품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운동 기술을 가르칠 때는 학생들의 이전 경험과 연결시켜 적용하는 방법을 가르칩니다. 예를 들어, 골프 스윙이나 농구 슈팅의 기본적인 동작을 익힐 때, 학생들이 이전에 해봤던 운동들의 이미지나 경험을 연결하여 지도하면 보다 효율적입니다.

스키마를 활용하면 학습자들이 새로운 정보를 보다 빠르게 이해하고 기억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습니다.

결론

스키마 이론은 지식구조를 형성해 나가고 이를 통해 만들어진 스키마를 활용하여 정보를 처리하고 문제를 해결해 나가며 의사결정하는 과정에서 또 다른 학습을 할 수 있다는 점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정보의 조직과 기억, 문제 해결 과정에서 스키마는 빠르고 효과적인 학습을 가능하도록 도와줍니다. 스키마이론은 교육 현장에서 학습자들의 스키마를 고려하여 기존에 알고 있는 것들을 바탕으로 더욱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식을 습득하도록 도울 수 있는 효율적인 교육 환경을 마련해 주는데 큰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