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심리학의 여러 이론들은 학습 과정을 조망하고, 효과적인 교육 환경을 형성하는 데에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교육 심리학 학습이론의 주요 이론들에 대해 살펴보고 이 이론들이 어떻게 학습의 기반이 되는 원리들로 적용되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행동주의 학습 이론
행동주의 학습이론에서는 학습은 개인의 행동에 의해 결정되므로 외부의 자극이 개인의 행동을 형성해 나가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그것을 강화, 발달시키는 방법에 대해 소개했습니다. 파블로프의 조건반사 이론은 행동주의 학습이론 중에서 고전적 조건화 이론에 해당됩니다. 이 이론은 행동주의 이론 중 하나로 환경에서 발생하는 자극이 동물이나 인간의 행동을 어떻게 형성해 나가는지에 대해 설명해 줍니다. 파블로프의 개 실험을 통해 조건반사 이론은 제기되었으며, 이 실험으로 학습자가 특정 자극에 반사적으로 반응해 나가며 행동을 형성해 나가는 과정에 대해 설명합니다.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반사 이론도 행동주의 학파를 대표하는 이론 중에 하나입니다. 조작적 조건반사 이론은 파블로프의 조건 반사이론에서 더 나아가 환경에서 제공되는 강화나 벌을 통해 특정 행동이 증가하거나 감소한다는 원리도 설명합니다. 스키너는 환경을 조작하고 강화와 벌의 조건을 추가하는 실험을 통해 그 원리를 입증했으며 교육에서 긍정적인 강화와 부정적인 강화, 즉 벌의 역할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합니다.
2. 사회인지 학습 이론
반두라는 사회인지 학습 이론을 통해 사회적 상호작용과 관찰이 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강조했습니다. 사회학습이론은 사회적 관계에서의 모델링을 통한 학습이 중요하다고 주장하며, 주변 환경에서 얻은 지식과 행동이 학습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교육에서는 모델링을 통해 동기를 이끌고 상호작용을 통해 효과적인 학습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3. 구성주의 학습 이론
제롬 빌더는 구성주의 이론을 통해 학습은 개인의 내적인 특성과 목표에 따라 형성되어간다고 보았습니다. 개인이 지각해서 형성한 정보들을 자신의 경험과 연결시키며 특정한 의미를 부여한다고 설명했습니다. 학습자의 이전 지식과 경험이 새로운 지식을 받아들이는 데 영향을 미치며 기존에 형성되어 있는 지식 구조를 통해 새로운 지식을 연결 짓고 형성해 나가는 효과적인 학습이 가능해진다고 보았습니다.
4. 인지주의 학습 이론
행동주의와는 다르게 인지주의에서는 외부의 자극보다는 학습자 본인의 내부에서 인지를 형성해가는 과정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조지 밀러 (George A. Miller)의 정보처리이론에서는 인간의 뇌가 정보를 처리하는 방식에 대해 중점적으로 다룹니다. 정보를 받아들이고 이것을 저장하는 과정, 그리고 저장해 둔 그 정보들을 새로운 환경이나 새로운 상황에서 찾아내고 연결시켜 내며 처리해 나가는 등의 과정에 대해 설명하며 학습의 과정에 대해 이해하려고 했습니다. 감각기억과 단기기억을 장기기억화하는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으며, 장기기억 속의 정보를 작업 기억으로 꺼내는 인출 과정까지 다루고 있습니다. 메타인지로 자신의 인지과정을 인식하고 통제할 수 있는 능력도 강조하고 있어 지식을 형성해 가는 데 더 효율적인 방법을 모색하고 수정해 나갈 수 있는 능력을 보여줍니다.
결론
교육 심리학의 이러한 다양한 학습이론들은 학습과 교육에 있어서 다양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행동주의, 구성주의, 인지주의 등의 학습이론들은 각 이론의 관점과 강점을 각각 가지고 있어, 교육자들은 학습자의 특성과 상황을 고려하여 적절한 이론을 선택하고 교육 환경을 개선해 나갈 수 있습니다. 한 가지 이론만을 채택하여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이 이론들을 융합하여 활용함으로써 보다 학습자에게 효과적이고 맞춤화된 교육 환경을 조성해 줄 수 있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각각의 이론들에 대해 더욱 자세하게 다뤄볼 예정입니다.
'교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동주의 학습이론2.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반사 이론 (0) | 2023.09.21 |
---|---|
행동주의 학습이론1. 파블로프의 조건 반사 이론 (0) | 2023.09.20 |
교육심리학의 동기이론 (학습을 이끄는 힘) (0) | 2023.09.18 |
교육심리학의 사회문화 이론의 개념과 적용 (0) | 2023.09.16 |
교육심리학의 인지론(스키마 이론의 개념과 그 역할) (1) | 2023.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