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41 교육심리학의 동기이론 (학습을 이끄는 힘) 교육심리학의 동기이론에서 강조하는 '동기'는 학습을 주도하는 핵심적인 힘으로 작용한다고 합니다. 동기란 개인이 특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가지는 강력한 의지와 원동력을 의미합니다. 학습자의 동기는 학습 성과로 직결되므로 동기를 이해하는 것은 좀 더 효과적인 교육 전략을 개발하는 데 있어 아주 중요하다고 강조하는 이론이 바로 동기 이론입니다. 동기 이론의 주요 접근 방법들 마즐로의 욕구계층 이론은 생리적 욕구에서 자아실현까지의 다양한 욕구가 학습을 이끄는 주요한 동기 요소로 작용한다고 보았습니다. 비크의 성장 동기 이론은 학습자의 내적 동기가 외부적 보상보다 더욱 중요하며, 자기 존중감과 연관이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또한, 스키너는 강화이론에서 긍정적인 강화로 원하는 행동을 촉진할 수 있고, 부정적인 강화.. 2023. 9. 18. 교육심리학의 사회문화 이론의 개념과 적용 교육심리학의 사회문화 이론은 문화적 맥락이 개인의 학습과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중점적으로 다룹니다. 개인의 학습과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 가운데 사회 문화적인 요소를 가장 크게 해석하고 있는 이론들입니다. 사회문화 이론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고, 교육 현장에서의 실제 적용에 대해 고찰해 보겠습니다. 1. 사회문화 이론의 정의와 발전 과정 사회문화 이론은 레비 베르크(L. S. Vygotsky)에 의해 1920년대 후반에 제안되었습니다. 사회문화 이론이란 개인의 학습과 발달이 사회적 상호작용과 문화적 맥락에 근거한다고 주장합니다. 이 이론은 다른 이론들과는 달리 개인의 내적 발달보다는 사회관계에서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문화적 요인을 강조하는 이론입니다. 그는 사회적 상호작용과 문화적 맥락이 학습과.. 2023. 9. 16. 교육심리학의 인지론(스키마 이론의 개념과 그 역할) 교육심리학에서 인지론은 학습 과정을 인식, 기억해 나가는 과정에서 인지구조의 변화에 대해 다루고 이를 통해 문제해결과 의사결정을 해 나가는 인지적 과정에 대해 연구한 이론입니다. 이 중에서도 스키마 이론은 경험이나 지식습득을 통한 인지구조적 변화가 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를 돕는 주요 개념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스키마 이론에 대해 깊이 있게 알아보고, 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살펴보겠습니다. 1. 스키마 이론의 기본 개념 스키마는 개념이나 상황을 이해하기 위한 지식의 구조를 형성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식당에 가면 음식을 주문한다."라는 스키마는 식당에 갔을 때의 일반적인 행동상황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스키마를 사용하면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마주하는 다양한 상황들을 보다 효율.. 2023. 9. 15. 교육심리학의 학습이론: 인지론의 주요 개념과 적용 인지론은 교육심리학의 학습이론 중의 하나로 학습이 미치는 인지적인 과정들에 대해 보다 중점적으로 바라보고 학습자가 지식을 형성해 나가는 과정을 다루고 있는 이론입니다. 기존의 학습과 외적인 행동의 변화와의 관계를 다루는 행동주의와는 다른 관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인지론에 대해 깊이 있게 알아보고, 교육현장에서의 응용 방법에 대해 적어보려고 합니다. 1. 인지론의 기본 원리 인지론은 학습을 정보처리의 결과로 본다는 기본 원리를 갖고 있습니다. 이는 학습자가 외부의 정보를 받아들이고, 내부적으로 처리한 후 지식을 형성하는 과정을 강조합니다. 즉, 지식의 형성은 활성적이며 내적인 과정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2. 인지론을 구성하는 주요 개념 인지론은 정보처리를 해나가는 관점에서.. 2023. 9. 14. 이전 1 ··· 6 7 8 9 10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