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1 교수설계 모형과 이론 분석 (객관주의와 구성주의 비교분석) 교수설계이론은 이러한 학습환경을 구축하는 방법에 대한 이론적인 기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객관주의와 구성주의는 교육 과정을 설계하는 두 가지 중요한 접근법입니다. 객관주의 교수설계모형과 이론에 대해 각각 정리해서 글을 적었고, 각각의 구성주의 교수설계이론을 정리하기 전에 객관주의와 구성주의에 대해 분석해 보고 이어나가려고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객관주의의과 구성주의 각각의 지식을 바라보는 입장의 차이와 학습자의 교수설계방향의 차이에 대해 특징과 원리를 비교분석해 보고 각각의 이론들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1. 객관주의: 학습 목표 중심 설계 객관주의는 교수설계이론 중에서 명확한 학습 목표를 중심으로 교육 과정을 설계하는 접근법입니다. 객관주의는 지식을 외부에서 주어진 명.. 2023. 12. 8. 오수벨의 유의미 수용학습 이론 오수벨의 유의미 수용학습 이론은 학습의 본질을 새롭게 바라보는 중요한 틀을 제시하는 이론입니다. 학습자들이 어떻게 지식을 습득하고 기억하며 적용하는지를 이해하는 것은 효과적인 교육 방법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오수벨의 유의미 수용학습 이론은 유의미 학습의 조건을 제시하고 학습의 의미와 학습의 과정에 대한 이해를 도움으로써 어떻게 학습자의 학습이 유의미한 학습이 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해 줍니다. 오수벨의 유의미 수용학습 이론에 대해 좀 더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1. 유의미 학습의 조건 오수벨의 유의미 수용학습 이론은 학습자가 의미 있는 학습을 이루기 위해 세 가지 주요한 조건을 제시합니다. 이 조건들은 유의미한 학습 과제, 인지 구조 속 관련정착지식,.. 2023. 11. 22. 캘러의 학습동기 유발 교수이론 학습 동기를 유발하는 교수법은 학습자들이 지루해 할 수 있거나 어려운 내용에도 흥미를 갖고 학습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이 중에서 캘러의 학습동기 유발 교수이론은 학습자들의 주도적 참여를 극대화하기 위해 동기 유발과 동기 유지를 위한 다양한 전략을 제시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캘러의 학습동기 유발 교수이론에서의 핵심적 개념인 ARCS 이론과 수행요인 모형에 대하여 자세하게 살펴보겠습니다. 1. ARCS 이론의 구성요소 ARCS는 주의 (Attention), 관련성 (Relevance), 자신감 (Confidence), 만족감 (Satisfaction)의 네 가지 구성요소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네 가지 구성요소는 학습자들의 학습 동기를 높이기 위해 교수자가 고려해야 할 중.. 2023. 11. 17. 라이겔루스의 정교화 교수이론(거시적 교수설계이론) 라이겔루스의 정교화 교수이론은 객관주의 교수 이론 중의 하나입니다. 이전 글에서 다루었던 메릴의 내용 요소 제시 이론이 내용의 요소들을 제시하는 미시적 교수이론이었다면 라이겔루스의 정교화이론은 좀 더 거시적인 관점으로 확장한 교수이론으로 볼 수 있습니다. 선행 지식의 활용과 지식의 정교화에 주목하는 이론으로 교수 내용을 선정하는 것에서부터 이 내용들을 계열화하고 종합한 후 요약하는 과정 전체를 아우르는 거시적인 관점의 이론입니다. 이 이론에 대해 좀 더 자세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정교화 교수이론이란 무엇인가? 거시적인 관점의 교수이론 라이겔루스의 정교화 교수이론은 교육의 기초를 정립하고자 하는 혁신적인 시도입니다. 교수할 여러 가지 내용들을 계열화하여 선정하고 이것을 정교화하여 어떻게 하면 효과적.. 2023. 11. 14. 이전 1 2 3 4 5 ···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