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1

지능이론: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 지능이란 우리가 생각하고 학습하는 능력을 의미하지만 가드너의 다중지능 이론 이전까지는 하나의 일반적인 지능을 중점적으로 바라보는 이론이 주를 이루었습니다. 제럴드 가드너(Gardner)는 1983년에 다중지능이론을 제안하여, 인간의 지능을 8가지 다른 영역으로 분류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전통적인 지능 이론들과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의 차이점을 알아보고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에 대해 세세하게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1. 전통적인 지능이론과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의 차이점 전통적인 지능이론과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은 지능을 이해하는 방식에서 차이점을 갖고 있습니다. 전통적인 지능이론은 단일 지능의 관점으로 일반적으로 'g'라고 하는 단일한 지능 요소가 존재한다고 여기며 단일지능이 모든 지능의 기본적이고 범용적인 능.. 2023. 10. 3.
지능의 정의와 전통적 지능이론 그리고 한계 오랜 세월 동안, 인간의 복잡하게 얽혀있는 뇌의 기능에 대해 이해하고자 노력해 왔습니다. 뇌의 기능에 대해 연구한 여러 학자들에 의해 지능이론이 발전되어 왔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지능이란 무엇이며, 이것을 연구해 온 여러 전통적 지능이론에 대해 각각 자세히 살펴보고 우리가 일상에서 인지하는 '지능'의 현대적 관점에 대해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1. 지능의 정의 지능은 여러 학자들에 의해 매우 다양한 측면에서 해석되어 왔습니다. 하지만 대체로 지능의 정의는 정보를 습득하고, 그 정보들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거나 새로운 상황에 대처해 나가는 능력으로 이해되고 있습니다. 이것은 학습과 추론뿐만 아니라 기억하고 기억장치에 저장하며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등의 다양한 능력을 포함하고 있는 포괄적인 의미입니다. 지.. 2023. 10. 2.
피아제와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 도덕성 발달은 인간의 도덕적 판단과 행동이 어떻게 형성되고 발전하는지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도덕성 발달 이론에는 피아제와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이 있습니다. 피아제가 아동이 11세 경에 도덕적인 추론 능력이 거의 다 발달한다고 주장한 데에 의문이 제기되자 콜버그는 청소년기와 성인까지의 단계로 확장하여 연구했습니다. 각 이론에 대해 좀 더 자세하게 살펴보겠습니다. 1. 피아제의 도덕성 발달 이론 피아제는 아동의 도덕성 발달을 연구하면서, 각 단계마다 나타나는 특징적인 사고 패턴을 밝혀냈습니다. 1단계인 전 도덕적 단계 (Preconventional Morality)의 아이들은 규칙에 관심을 거의 보이지 않으며 완전히 이해하지 못합니다. 아동은 자기 이익을 중시하고, 상호 간의 이해와 교환을 중요시.. 2023. 9. 29.
에릭슨(Erikson)의 사회성발달이론 단계와 분석, 비판점 에릭슨(Erikson)의 이론은 개인의 발달이 단순히 생물학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사회와 문화적인 영향을 받는다는 관점에서 형성되었습니다. 그는 사회성 발달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삶의 각 단계에서의 과제와 영향에 대해 연구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에릭슨의 사회성 발달 이론의 발달 단계들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에릭슨의 사회성 발달 8단계 첫 번째 단계는 신뢰 대 불신 단계로 신뢰 관계 형성단계입니다. 태어나서 1세 미만 (영아기-프로이트의 구강기)까지를 말하며 이 단계에서는 신뢰와 안정감을 개발하고, 주변 환경에 대한 불신을 방지해야 합니다. 영아가 부모의 따뜻한 보살핌을 경험하고 신뢰를 형성하면, 이후에도 타인에 대한 신뢰를 가질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두 번째 단계는 자존감 대 자아혼란 단.. 2023. 9.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