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겔루스의 정교화 교수이론은 객관주의 교수 이론 중의 하나입니다. 이전 글에서 다루었던 메릴의 내용 요소 제시 이론이 내용의 요소들을 제시하는 미시적 교수이론이었다면 라이겔루스의 정교화이론은 좀 더 거시적인 관점으로 확장한 교수이론으로 볼 수 있습니다. 선행 지식의 활용과 지식의 정교화에 주목하는 이론으로 교수 내용을 선정하는 것에서부터 이 내용들을 계열화하고 종합한 후 요약하는 과정 전체를 아우르는 거시적인 관점의 이론입니다. 이 이론에 대해 좀 더 자세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정교화 교수이론이란 무엇인가? 거시적인 관점의 교수이론
라이겔루스의 정교화 교수이론은 교육의 기초를 정립하고자 하는 혁신적인 시도입니다. 교수할 여러 가지 내용들을 계열화하여 선정하고 이것을 정교화하여 어떻게 하면 효과적으로 교수할 것인가에 대한 방법론적 접근입니다. 정교화 교수이론은 지식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전체 개요를 제시하고 상세 내용을 설명한 후 요약자와 종합자를 거치는 과정 전체의 효율적인 교수법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학습자가 새로운 지식을 습득하고 응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전략을 제공합니다.
2. 정교화 교수이론의 7가지 전략
라이겔루스의 정교화 교수이론은 다양한 전략을 제시하여 학습자가 선행 지식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새로운 지식을 정교화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이것의 총 7가지 전략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정교화된 계열화 (Elaboration)는 단순한 내용에서 복잡한 내용으로, 일반적인 내용에서 세부적 내용으로 진행되는 교수전략을 의미합니다. 이 방법은 줌 렌즈를 통해 전체적인 개요를 제시하고, 상세 내용을 설명한 후 요약하고 종합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정교화된 계열화는 개념적 정교화, 이론적 정교화, 절차적 정교화로 나눌 수 있습니다. 개념적 정교화 (Conceptual Elaboration) 개념적 정교화는 개념의 조직도를 고안한 후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개념에서부터 시작하여, 이를 세부적이고 상세한 개념으로 순차적으로 교수 내용을 계열화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학습자는 새로운 개념을 처음에는 전반적으로 이해한 후, 그다음에는 세부적인 부분들로 확장해 나가게 됩니다. 이 과정을 통해 학습자는 개념들 간의 관계를 명확히 이해하고, 지식을 정교화시킵니다. 이론적 정교화 (Theoretical Elaboration) 이론적 정교화는 원리들의 폭과 깊이를 명세화한 후, 기초적이고 명백한 원리에서부터 시작하여 세부적이고 복잡한 원리로 계열화하는 것을 말합니다. 학습자는 새로운 이론을 전체적으로 이해한 후, 이를 세부적인 부분들로 확장하여 깊이 있게 이해하게 됩니다. 이 과정은 학습자가 이론을 단순히 암기하는 것을 넘어, 그 이론을 어떻게 응용하고 활용할 수 있는지를 학습하게 돕습니다. 절차적 정교화 (Procedural Elaboration) 절차적 정교화는 학습 목표와 학습 내용 습득을 위한 일련의 과정을 계열화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학습자는 일련의 절차를 최적으로 숙지하고 이를 세부적이고 구체적인 단계로 나누어 교수된 내용을 학습합니다. 이러한 방식은 학습자가 지식을 실제로 활용하는 능력을 강화하며, 개념과 이론을 실제로 적용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선수학습 요소 계열화 (Prior Learning Factors Elaboration)는 학습자가 새로운 내용을 학습하기 전에 필요한 선행학습 능력을 구비할 수 있도록, 필수 선수 학습요소를 순서화하여 수업하는 전략을 의미합니다. 이는 학습자가 새로운 내용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기존 지식을 바탕으로 새로운 지식을 습득하게 돕습니다. 선수학습 유형은 개념학습, 원리학습, 절차학습으로 나뉘며, 각 유형은 특정 유형의 지식을 습득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개념학습은 학습자가 개념을 구성하는 속성들과 그 속성들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는 것을 말합니다. 선수학습 요소로서, 학습자는 해당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기본 개념들을 미리 학습합니다. 이는 개념 간의 관련성을 이해하고, 새로운 개념을 빠르게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원리학습은 각종 개념과 개념들의 변화를 나타내주는 이론을 학습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학습자가 특정 주제나 영역의 원리를 이해하고, 그 원리에 기반하여 새로운 정보를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선수학습 요소로서, 원리학습은 학습자가 이론적인 배경지식을 미리 습득하여 새로운 원리를 효과적으로 이해하게 합니다. 절차학습은 절차의 각 단계에 속하는 행동들의 구체적 요인과 규칙을 학습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선수학습 요소로서, 학습자는 특정 절차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선행 지식을 학습합니다. 이는 학습자가 실제로 행동을 수행할 때 자신감 있게 행동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줍니다. 정교화된 계열화와의 결합 라이겔루스의 정교화 이론에서 선수학습 요소 계열화는 정교화된 계열화 전략 중의 하나로, 학습자가 전반적으로 내용을 이해한 후에 세부적이고 구체적인 내용을 습득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이는 학습자의 학습 효과를 향상하고, 지식의 정교화를 촉진하는 데 기여합니다. 요약자 사용 (Summarization Strategies)은 내용 망각을 방지하고 복습을 위한 전략 중 하나입니다. 학습 단원이나 교과 전체를 요약하여 제공함으로써, 학습자에게 내용을 간결하게 정리하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뿐만 아니라, 각 요약에는 핵심적인 정보뿐만 아니라 사례나 자기 평가적 연습문제 등이 포함돼 있어, 학습자는 내용을 보다 심도 있게 이해하고 습득할 수 있습니다. 만약 특정 교과목에서 특정 개념을 학습했다면, 해당 단원의 핵심 개념과 연습문제가 포함된 요약자를 통해 그 내용을 다시 상기하고 강화할 수 있습니다. 종합자 사용(Synthesis Strategies)은 내용 요소의 연결과 통합을 위한 전략으로, 단원이나 교과 전체를 종합하여 제시합니다. 종합자에는 통합적 사례와 자기 평가적 연습문제가 포함되어 있어, 학습자는 이미 학습한 개념들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일반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는 필수적이고 가치 있는 지식을 학습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학습의 의미와 동기를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교과목의 끝에서 제공되는 종합자를 통해, 이전에 학습한 여러 주제와 개념들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습의 전체적인 의미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요약자와 종합자의 활용은 학습자에게 다양한 이점을 제공합니다. 먼저, 내용 망각을 방지하고 지식을 유지하기 위한 복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집니다. 더불어, 종합자 사용은 효과적인 지식의 통합을 통해 일반성을 제시하고, 학습의 의미와 동기를 높입니다. 이로써 학습자는 단순히 정보를 습득하는 것을 넘어, 그 지식을 응용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게 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습니다. 비유 활용 (Analogy Use)은 학습자가 새로운 지식을 이미 알고 있는 지식과 유사한 개념이나 상황으로 비유하여 더욱 쉽게 이해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비유를 통해 학습자는 추상적이고 복잡한 개념을 더 쉽게 이해하고 정교화할 수 있습니다. 인지 전략 촉진자(Cognitive Strategy Fostering)는 학습자가 학습 내용을 이해하고 처리하는 것을 돕기 위해 학습 방식을 개선하고 지적 기능을 촉진하기 위한 전략을 제공합니다. 학습자는 이러한 전략을 활용하여 지식을 습득하고, 이를 통해 더 높은 수준의 정교화를 이루어냅니다. 자신의 사고 과정을 인식하여 조절해 나가면서 능동적 참여를 유도할 수 있고 학습 효과가 높아지게 됩니다. 학습자 통제 (Learner Control)는 학습자가 학습 환경이나 학습 내용, 전략 등을 일부 선택하고 조절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전략입니다. 학습자는 자신의 학습 경험을 조절함으로써 메타인지를 활용하여 자신의 학습에 대한 적응성을 높이고, 더 나은 정교화를 이루어 갈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습니다.
정리
라이겔루스의 정교화 교수이론은 거시적인 관점에서 학습자가 선행 지식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새로운 지식을 정교화하는 데 다양한 전략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정교화된 계열화는 학습자가 새로운 정보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응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효과적인 교수전략 중 하나입니다. 이는 단순히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넘어, 학습자가 그 정보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법으로, 교육 현장에서 다양한 학습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전략들은 교육자가 학습에 맞게 학습 환경을 디자인하고 지원하는 데 매우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학습자 중심의 접근을 강조하는 이 이론은 학습자들이 지식을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게 됩니다.
'교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수벨의 유의미 수용학습 이론 (0) | 2023.11.22 |
---|---|
캘러의 학습동기 유발 교수이론 (0) | 2023.11.17 |
메릴의 내용요소 제시 이론 (미시적 교수설계이론) (0) | 2023.11.13 |
브루너의 발견학습 모형과 그 요소 (0) | 2023.10.31 |
블룸의 완전학습 모형 10단계와 특징 요약정리 (0) | 2023.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