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룸(Bloom)의 완전학습 모형은 지난번 글에서 정리한 캐럴의 학교 학습 모형을 기초로 하여 모리슨의 개별지도 개념과 브루너, 스키너의 개념들을 적용하여 만들어 낸 모형입니다. 블룸의 완전학습 모형에 대해 자세하게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블룸이 제시한 완전학습의 정의와 특징
블룸이 제시한 완전학습이란 학습자가 어떤 주제나 내용을 완전히 이해하고, 그것을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특히 블룸은 학습자의 95% 정도가 학습한 학습내용의 90% 이상을 습득하도록 하는 것을 완전학습으로 보았습니다. 이 모형은 학습 과정을 체계적으로 단계별로 이끌어내어 학습을 최대한 깊이 있게 이루어지도록 도울 수 있는 교수방법을 고안하는 것이 교수활동의 목표로 보았습니다. 캐롤이 학교학습 모형을 기초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캐롤이 강조했던 학습시간을 가장 중시하고 있습니다. 그것에 더하여 형성평가를 통한 학습자의 이해도 평가와 부족한 부분에 대한 보충학습을 가장 강조하며 철저한 개별 수업과 교정학습을 통해 완전학습에 이르도록 할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이에 더 나아가 심화학습을 통해 완성도를 높이는 심화단계까지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2. 블룸의 완전학습 모형 10단계
블룸의 완전학습 모형은 크게 세 단계로 나누어 1,2 단계는 수업 전단계, 3~9단계는 본 수업 단계, 10단계는 수업 후 단계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수업 전 단계에 해당하는 1단계는 학력 진단 단계로 기초 학력을 진단하고 학습 결손 부분에 대해 파악하여 학습자의 현재 수준에 대한 이해를 하는 단계입니다. 학습자가 어떤 부분에서 약점을 가지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어떤 지식 또는 능력이 부족한지를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향후 학습 방향에 대해 결정하게 됩니다. 2단계는 학습결손 보충단계로 학습 결손으로 나타나는 부분에 대한 보충학습 기회를 제공합니다. 추가적인 학습 자료나 개별적인 지도 등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약점을 보완함으로써 학습자가 다음 단계로 나아갈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습니다. 본격적으로 수업 단계로 들어가는 3단계는 수업 목표 명시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 교수자는 명확하게 정의된 수업 목표를 제시함으로써 수업 시작 전에 학습자들이 이루어야 할 내용을 명확히 알고 기대 성취 수준을 명시적으로 설명하여 목표에 다가가도록 돕습니다. 4단계는 실제 수업 단계로 교수자가 제시한 목표에 맞추어 학습자들에게 새로운 내용이나 개념을 가르치고 설명합니다. 교수자는 학습자들이 수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필수 내용들을 제공합니다. 5단계는 수업 보조 활동 단계로 학습자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보조 활동을 제공합니다. 토론, 그룹 활동, 실험 등의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학습자들이 주체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뜻합니다. 6단계는 형성 평가 단계로 학습자들의 이해도를 확인하기 위한 형성 평가를 실시합니다. 교수자는 학습자들의 학습 수준을 세밀하게 파악하고, 필요한 부분을 보충하도록 돕기 위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단계입니다. 7단계는 보충학습 단계입니다. 형성 평가의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학습자들이 어떤 부분에서 어려움을 겪는지를 파악하고 부족한 부분에 대한 보충하는 활동을 제공합니다. 블룸은 완전학습에서 보충 학습 과정을 매우 중요하게 보고 있습니다. 8단계는 심화학습 단계로 높은 수준의 학습자들을 위한 추가적인 도전적인 활동이나 내용을 제공하여 심화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것은 학습 내용에 대해 좀 더 깊이 있는 학습을 통해 사고를 확장시켜 나가는 것을 도울 수 있습니다. 9단계는 2차 학습 기회 단계로 학습자들에게 두 번째 기회를 제공하여 어려웠던 부분에 대해 다시 복습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입니다. 처음에 이해하지 못했던 내용을 다시 다루어 정확한 이해를 돕는 것을 통해 완전학습을 추구합니다. 마지막으로 수업 후 단계인 10단계는 총괄 평가 단계입니다. 수업 후 학습의 진행 정도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주는 총괄평가를 실시하는 단계로 이 과정을 통해 학습자들의 최종 습득정도를 이해하고 완전학습 정도의 판단이 가능하게 됩니다. 이렇게 10단계의 각 단계를 거치면서 학습자들이 완전한 학습에 다가갈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습니다.
정리
블룸의 완전학습 모형은 평가를 통해 결손 부분과 부족한 부분을 파악하고 보충과 수정 과정을 거쳐 학습내용에 대한 완전한 이해를 추구하는 모형입니다. 이 모형에서 제시한 10단계는 오늘날의 학교 현장에서도 그대로 적용되고 있습니다. 교수학습과 평가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심화 학습 단계까지 제공함으로써 이해한 내용에 대한 좀 더 심도 있는 사고확장까지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이것은 새로 학습한 지식들을 완전학습으로 다지는데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교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릴의 내용요소 제시 이론 (미시적 교수설계이론) (0) | 2023.11.13 |
---|---|
브루너의 발견학습 모형과 그 요소 (0) | 2023.10.31 |
캐롤의 학교 학습 모형과 적성 (0) | 2023.10.20 |
교수 학습의 방법 선택과 수업 구성 요소 (0) | 2023.10.19 |
적응과 부적응, 그리고 부적응의 대처 방식 적응기제 (0) | 2023.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