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학

오수벨의 유의미 수용학습 이론

by 라이프인사이트 2023. 11. 22.

오수벨의 유의미 수용학습 이론은 학습의 본질을 새롭게 바라보는 중요한 틀을 제시하는 이론입니다. 학습자들이 어떻게 지식을 습득하고 기억하며 적용하는지를 이해하는 것은 효과적인 교육 방법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오수벨의 유의미 수용학습 이론은 유의미 학습의 조건을 제시하고 학습의 의미와 학습의 과정에 대한 이해를 도움으로써 어떻게 학습자의 학습이 유의미한 학습이 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해 줍니다. 오수벨의 유의미 수용학습 이론에 대해 좀 더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오수벨의 유의미 수용학습이론

1. 유의미 학습의 조건

오수벨의 유의미 수용학습 이론은 학습자가 의미 있는 학습을 이루기 위해 세 가지 주요한 조건을 제시합니다. 이 조건들은 유의미한 학습 과제, 인지 구조 속 관련정착지식, 유의미 학습 태세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 번째, 유의미한 학습 과제(논리적 유의미가)는 학습자에게 주어지는 일종의 논리적인 챌린지를 의미합니다. 이는 단순히 정보를 기억하는 것이 아니라, 주어진 정보나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하는 데에 학습자가 논리적 사고를 동원해야 함을 의미합니다. 유의미한 학습 과제를 통해 학습자는 새로운 지식을 의미 있는 맥락 속에서 이해하고 습득할 수 있습니다. 이 학습 과제는 실사성과 구속성이라는 두 가지 특성을 지니는데 실사성은 학습자가 과제를 수행함으로써 현실 세계에서의 응용이 가능한 경험을 제공합니다. 학습 과제의 내용이 현실적이고 실제 상황에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면, 학습자는 보다 의미 있는 경험을 쌓을 수 있습니다. 또한, 학습자가 과제를 통해 얻은 지식과 기술은 안정적이며 변하지 않는 구속성을 가지고 있다면 이를 통해 학습자는 과제 수행을 통해 쌓은 경험을 기반으로 한 지속적인 학습이 가능하게 됩니다. 이러한 논리적 유의미가는 학습이 지루하지 않고 도전적이며 의미 있는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학습 동기를 높이도록 도와줍니다. 두 번째, 인지 구조 속 관련정착지식(잠재적 유의미가)입니다. 학습자가 새로운 정보를 이미 보유하고 있는 기존의 지식과 연결하며 의미 있는 패턴을 찾아내면, 그 정보는 잠재적으로 유의미한 학습으로 전환되게 됩니다. 따라서 인지 구조 속의 관련정착지식이 있다면 이 학습 과제는 잠재적 유의미가를 가지게 됩니다. 학습자의 기존 지식을 존중하고 새로운 지식을 그와 연결시켜 나가는 과정에서 유의미한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돕는 것입니다. 학습자가 새로운 지식을 통해 기존의 지식을 발전시키고 확장함으로써 의미 있는 학습이 이루어집니다. 세 번째, 유의미 학습 태세(심리적 유의미가)입니다. 위의 잠재적 유의미가를 갖고 있는 학습 과제를 학습자가 수행하려는 학습 태세를 가지게 될 때 이 학습 태세는 비로소 유의미한 학습 태세가 됩니다. 학습자가 학습에 적극적이며 주체적인 태도를 가질 때, 그 학습은 심리적으로 유의미한 경험으로 전환될 수 있습니다. 오수벨은 학습자가 주체적으로 자신의 학습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며, 그 과정에서 자기 효능감과 만족감을 느끼게 되면 학습이 유의미하게 이루어진다고 주장했습니다. 심리적 유의미가는 학습의 목적성과 개인적인 의미 부여를 강조하여 학습 동기를 높이고 지속 가능한 학습태세를 형성하도록 도와준다고 보았습니다. 이러한 세 가지 조건은 학습자가 단순히 정보를 습득하는 것을 넘어 의미 있는 학습을 이루어 나가기 위한 필수적인 조건들입니다. 유의미한 학습 과제, 인지 구조 속 관련정착지식, 유의미 학습 태세를 고려하여 교육과 교수법을 디자인하면 학습자의 지적 호기심과 창의성을 자극하며, 의미 있는 학습 경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2. 학습의 의미와 과정

오수벨의 유의미 수용학습 이론에서 학습은 단순히 정보를 기억하는 것을 넘어 개인이 이미 보유한 지식과 새로운 정보를 유기적으로 통합하고 의미 있는 패턴을 형성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학습은 개인이 주체적으로 의미를 부여하고 이해하는 과정으로, 이를 통해 개인의 지식 체계가 더욱 풍부하고 유의미한 방향으로 발전하게 됩니다. 오수벨은 학습의 과정을 포섭의 유형으로 나누었는데 종속적, 상위적, 병렬적, 망각적 포섭으로 나누어 설명했습니다. 종속적(하위적) 포섭은 새로운 정보가 이미 보유한 정보와 부합하거나 보완되는 경우를 나타냅니다. 이는 학습자가 이전에 습득한 선행 지식을 기반으로 새로운 정보를 이해하고 통합함으로써 의미 있는 학습이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상위적 포섭은 새로운 정보가 이미 보유한 정보보다 높은 수준의 추상화나 일반화를 통해 이해되는 경우를 나타냅니다. 학습자가 구체적인 정보를 일반적인 원칙이나 법칙으로 이해하고 그것을 확장해감으로써 상위 수준의 학습이 이루어집니다. 병렬적 포섭은 새로운 정보가 이미 보유한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학습자는 새로운 정보와 기존 정보 간의 유사성과 차이를 동시에 인식하면서 새로운 지식을 받아들이고 습득하는 과정이 병렬적 포섭입니다. 망각적(소멸적) 포섭은 학습자가 새로운 정보를 습득하더라도 일정 시간이 지나면 기존의 정보를 잊어버리는 현상을 나타냅니다. 정보가 일시적으로 기억에 저장되었다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잊혀지는 것을 망각적 포섭이라고 합니다. 반복이나 강화학습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정리

유의미한 학습은 정보의 단순한 습득을 넘어 학습자의 주체적이고 의미 있는 경험을 통해 이루어지게 딥니다. 오수벨의 유의미 수용학습 이론이 제시하는 유의미 학습의 세가지 조건인 유의미한 학습 과제, 인지 구조 속 관련정착지식, 유의미 학습 태세에 대해 심도있게 고려하여 교수내용과 교수법을 결정한다면 학습자의 지적 호기심과 창의성을 자극하게되고 학습자에게 보다 의미 있는 학습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를 통해서 학습자는 지식을 받아들이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기존 지식과 유기적으로 연결 통합하며 보다 유의미한 정보를 주체적으로 창출하고 응용하는 능력까지도 기를 수 있게 될 것입니다.